동덕여대 공학 반대 총력위 조직도
내용
돌연 폭력시위… 투표 없이 수업거부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시위가 불과 일주일도 안돼 소요사태로 번졌다는 점이다. 당초 총학생회도 11월 7일 목요일 입장문에서 “(공학 전환이) 공식적인 회의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다”고 인정했다. 그런데 총학생회를 포함한 시위대는 주말이 지나자마자 돌연 교정을 점거하고 기물파손 행위를 벌인다. 총학생회가 11일 월요일 오후 처장단과 면담을 진행하던 시점, 이미 백주년기념관 등의 건물을 점거하고 학교 전역에 대한 파손행위를 벌였다. 학교와 제대로 된 소통의 장이 열리기도 전이었다.
시위에 돌입하고 나서도 학생들의 총의를 모으는 과정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시위의 일환인 ‘수업 거부’가 재학생의 의견 수렴 절차를 제대로 거치지 않고 이뤄졌다. 총대위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수업 거부는 11월 12일부터 실험, 실습, 토론, 발표 등 수업의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수업’에 대해 진행한다”고 공지했을 뿐이다.
공학 전환에 찬반을 묻는 투표 역시 학과 단체 메신저 방에 올라왔다 지워지거나, 아예 투표도 진행되지 않은 곳도 많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재학생은 지난 11월 22일 주간조선과 만나 “학과 차원에서 수업 거부에 대한 의견 수렴 절차는 아예 없었다”며 “단지 수업 거부를 진행하겠다는 단과대학별 공지가 내려왔을 뿐”이라고 전했다. 그는 “학과 대표가 공학 논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찬반 투표를 올리긴 했다”면서 “반대하는 친구들의 항의가 거세 투표가 1분 만에 사라졌다”고 전했다.
총학생회도 이미 이러한 절차적 하자를 인지하고 있었다. 주간조선이 입수한 지난 11월 18일 자 동덕여대 총학생회와 전체 학생 간담회 속기록에 따르면 한 참석자가 수업 거부를 지속할 것이냐고 물으며 “특정 단과대학은 수업거부 투표도 진행되지 않았다”고 지적하자 총학생회가 “강제할 수 없다고 생각하긴 한다”며 “수업 거부를 모든 이들에게 강제하게 된 것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총학생회 측은 이어진 유사한 질문에 대해 “건물들의 점거가 해제되면 자율성이 부과되고 수업 거부가 사라질 수도 있다”고 답변했다.
특정 단과대에서는 ‘수업 거부는 강제가 아니다’라는 식의 고지를 하기도 했지만 큰 의미가 없었다. 11일에서 12일 사이 월곡캠퍼스, 종로구 대학로캠퍼스, 강남구 청담캠퍼스 등의 강의실과 실습장이 시위대들에 의해 막히거나 난장판이 됐기 때문이다. 익명의 재학생은 “강의실 문에 청테이프가 발라져 있고 래커칠이 되어 있었다”며 “이런 난장판을 치운 학우들도 있었는데, 그러자 익명 커뮤니티에서 ‘다시 (테이프) 붙이러 갑니다’라고 인원을 모집해 다시 강의실을 봉쇄하더라”라고 증언했다.
“수업 들은 사람들 두고보자”
시위대가 수업 거부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을 위협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강의실이 모두 봉쇄돼 대면수업이 불가능해지자, 교수진은 주로 온라인 강의를 통해 수업을 이어갔다. 시위대는 이때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 대한 비난여론을 조성하고, 강의에 접속해 수업을 방해하거나 ‘캡처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이 기간 동안 동덕여대 에브리타임(익명 커뮤니티)에는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는 강의 접속 링크를 공유하며 ‘수업거부 테러를 해 달라’는 식의 게시글이 지속적으로 올라온 것으로 확인됐다. 또 ‘줌(화상강의) 수업 링크를 적어주면 시위 참가 못하는 이들이 분탕치겠다’는 게시글에는 강의 접속 링크가 담긴 댓글이 줄줄이 달리기도 했다. 심지어는 “접속하지 말라”며 “(교수의 화상강의 공지에) 체크한 분들 다 캡처하고 있다”고 협박성 글을 올린 이도 있었다.
시위대는 수강생이 아니면서도 온라인 강의에 접속해 ‘수업거부’라는 텍스트를 걸어두고 화면을 끄고 있거나, 심지어는 소리를 지르며 훼방을 놓고 도망간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익명의 동덕여대 재학생은 “우리 수업의 화상수업 링크가 유출됐고, 다른 수업들에서도 종종 그랬다”며 “수업 들어가는 애들 다 ‘캡처’하고 있으니 알아서 하라는 이야기를 듣기도 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시위대의 행태를 미루어 신변의 위협이 느껴졌고, 화상 수업에 들어가는 것조차 눈치가 많이 보였던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성소수자 혐오 동아리가 주축?
이렇다 보니 애초부터 시위를 주도하는 총력대응위원회의 구성부터 비민주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총대위의 구성은 재학생의 총의를 모을 수 있는 기구라기에는 대단히 기형적이다. 주간조선이 단독 입수한 총력대응위원회 내부 조직도에 따르면, 11월 11일 설립 당시 위원장은 총학생회장이 아닌 ‘래디컬 페미니즘 동아리’를 자처하는 ‘사이렌’의 교육팀장 이OO씨(컴퓨터학 전공)다. 그리고 일주일 뒤 조직도에는 총학생회장이 공동위원장으로 함께 이름을 올리고 있다. 사이렌의 공식 X(트위터)에 따르면 총력대응위원회는 사이렌 측이 제안해 만들어진 것으로, 위원회 구성원 17명 가운데 4명이 이 동아리 소속이다. 총학생회는 2명이 참여하고 있고 나머지는 각 단과대 대표 등이 참여하고 있다. 대응위원회 설립을 사이렌이 주도했고, 총학생회는 여기에 얹혀가는 모양새로 볼 수 있다. 이 기구가 총학생회 차원에서 어떠한 추인 과정을 거쳤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동덕여대 총학생회는 이러한 과정이 논의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11월 11일 자 중앙운영위원회 회의록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사이렌은 평소 트랜스젠더 등 남성 성소수자들에 대한 혐오적 주장을 해왔다. 사이렌의 인스타그램에는 남성에서 여성으로 전환한 트랜스젠더를 두고 ‘자기중심적 선택’이라고 표현하고, 특히 “여자의 종속적 지위를 흉내내고 마조히즘적 욕구 해소 수단으로 사용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음대 졸업연주회 사건’에서도, 교수가 낭독을 강요받은 선언문을 작성한 주체가 사이렌이다. 주간조선이 입수한 당시 선언문에는 여성을 ‘Women’이 아닌 ‘Womyn’으로 표현하는데, ‘men’이 단지 ‘남성’을 뜻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피할 정도로 배타적이다. 시위 과정서 나온 “소멸할지언정 개방하지 않는다” 또는 “차라리 폐교하라” 등의 극단적 표현들이 나온 것이 이해가 되는 대목이다.
출처
주간조선(http://weekly.chosun.com)
https://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38519
- 윤석열 대통령 구속 – 내란 우두머리 혐의 (2025-01-19)
- 윤석열 대통령 입장문 전문 (2025-01-15)
- 윤석열 체포영장 재집행 – 윤석열 체포 집행 (2024-01-15)
- 윤석열 체포영장 재집행 – 관저 내부 진입 중 (2024-01-15)
- 윤석열 체포영장 재집행 – 2차 저지선 통과 (2024-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