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둔 청년 54만명 80% 탈고립 원한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5월부터 6달 동안 국내 고립·은둔 청년 8천 8백여 명을 대상으로 첫 실태 조사를 벌였다.
고립·은둔 생활을 시작한 계기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취업 실패‘를 꼽았다.
‘대인 관계‘가 비슷한 비율로 언급됐고, ‘가족 관계‘가 뒤를 이었다.
특히 10대 청소년은 ‘대인 관계’, ‘가족 관계’ 등 관계 문제로 은둔·고립을 시작한 경우가 많았다.
폭력이나 괴롭힘이 원인이라고 답한 비율도 15%였습니다.
조사에서 고립·은둔 청년 대다수는 ‘탈고립‘ 의사를 뚜렷하게 드러냈다.
10명 가운데 8명 이상이 ‘현재 상태를 벗어나길 원한다’고 답했고, 67%는 적극적인 탈고립 시도를 했다.
하지만 탈고립 시도 이후 다시 고립되는 비율은 45.6%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돈과 시간이 부족해서‘가 가장 많았고 ‘힘들고 지쳐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가 뒤를 이었다.
탈고립을 시도하지 않은 응답자 가운데 28.5%가 ‘정보가 없어서’라고 이유를 밝혔다.
정부는 고립·은둔 청년을 조기에 발굴하고 지원하는 시범 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위기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온라인 자가진단 시스템을 마련하고, 원스톱 도움 창구도 설치한다.
내년에는 4개 지역에 고립·은둔 청년만 전담하는 기관도 신설하기로 했다.
또,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와 청년 사업 등을 통해 지원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대책은 지난 3월 고립·은둔 위기 청년 규모가 최대 54만 명이라는 조사 결과에 따라 마련됐다.
- 선미가 만든 가상자산 프로젝트 근황
- 김신영 여론이 반전된 이유 (feat. 플레이브)
- 불나비 vs 개벤져스 (시즌7 G리그 A조 4R)
-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2025-02-10)
- 2024 SBS 연예대상 수상자 & 작품